Is a Camera-Type Portable X-Ray Device Clinically Feasible in Chest Imaging?: Image Quality Comparison with Chest Radiographs Taken with Traditional Mobile Digital X-Ray Devices

J Korean Soc Radiol. 2024 Jan;85(1):138-146. doi: 10.3348/jksr.2023.0020. Epub 2023 Dec 9.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whether the image quality of chest radiographs obtained using a camera-type portable X-ray device is appropriate for clinical practice by comparing them with traditional mobile digital X-ray devic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y-six patients who visited our emergency department and underwent endotracheal intubation,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or nasogastric tube insertion were included in the study. Two radiologists scored images captured with traditional mobile devices before insertion and those captured with camera-type devices after insertion. Identification of the inserted instruments was evaluated on a 5-point scale, and the overall image quality was evaluated on a total of 20 points scale.

Results: The identification score of the instruments was 4.67 ± 0.71. The overall image quality score was 19.70 ± 0.72 and 15.02 ± 3.31 (p < 0.001) for the mobile and camera-type devices, respectively. The scores of the camera-type devic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mobile device in terms of the detailed items of respiratory motion artifacts, trachea and bronchus, pulmonary vessels, posterior cardiac blood vessels, thoracic intervertebral disc space, subdiaphragmatic vessels, and diaphragm (p = 0.013 for the item of diaphragm, p < 0.001 for the other detailed items).

Conclusion: Although caution is required for general diagnostic purposes as image quality degrades, a camera-type device can be used to evaluate the inserted instruments in chest radiographs.

목적: 카메라형 휴대형 X선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한 흉부 X선 사진의 영상품질을 기존 이동형 디지털 X선 장치로 촬영한 영상과 비교하여 임상에서 사용 가능한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20년 9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중 기관내 삽관, 중심정맥관, 비위관 등을 삽입한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기구 삽입 전 기존 이동형 디지털 X선 장치, 기구 삽입 후 카메라형 휴대형 X선 장치를 이용하여 각각 흉부 영상을 촬영하였다.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얻어진 두 영상을 삽입기구의 식별에 대하여 5점 척도, 전반적인 영상 품질에 대하여 20점 만점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카메라형 휴대형 X선 장치로 삽입한 기구의 식별에 대한 평가는 4.67 ± 0.71점이었다. 전반적인 영상품질에 대한 평가는 기존 이동형 디지털 X선 장치와 카메라형 휴대형 X선 장치가 각각 19.70 ± 0.72점과 15.02 ± 3.31점(p < 0.001)이었고, 호흡 및 움직임 관련 인공물, 기관 및 기관지, 폐혈관, 심장 뒤 혈관, 흉추 추간판 공간, 횡격막 하 혈관, 횡격막 관찰의 세부항목에서 카메라형 X선 장치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횡격막 관찰 세부항목 p = 0.013, 그 외 세부항목 p < 0.001).

결론: 카메라형 휴대형 X선 장치는 흉부X선 사진에서 삽입 기구의 평가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나 영상의 품질 저하가 있으므로 일반적인 진단 목적의 사용에는 주의를 요한다.

Keywords: Radiography, Thoracic; Thorax; X-Ray.